0w0

「헬스케어 분야」 오픈소스SW 매니지먼트 아카데미 전문과정 교육 2일차

오픈체인

오픈소스 ISO 표준을 위한 길

  1. 조직
  2. 정책
  3. 프로세스
  4. 도구
  5. 교육
  6. 선언/유지

오픈소스는 어렵다.

그러나 프로젝트의 최소 90% 이상이 오픈소스,

ISO 컴플라이언스, 보안 보증

조직이 제일 필요하고, 담당, 현황 등이 중요

현대차는 iso 표준아니면 납품못함(예정

오픈소스 오퍼레이팅 역량이 있으면 오픈소스, 아니면 상용 어차피 기업은 돈이 늘 있다.

문서 메이저/마이너 => 빡빡하게하지는 않음, 애플리케이션 연동도아님 좀 빡시다 메이저, 아니면 마이너?

fosslight 실습

SBOM 수기보다 도구 사용하자

스캐닝 2종류

  1. 텍스트 스캐닝(fossology, nexb) 문자를 지우면 문제
  2. 소스 스캐닝(대부분 상용, db 기반이기 때문에 돈이....)

좋은 도구일수록, 빠르게

다만 2)는 여러 코드, 라이센스 제공 받기도 함 그래서 해석의 여지가 있음 같은 도구, 다른 결과

오픈소스 검사

  1. 소스코드
  2. 바이너리(어려워서 다들 상용, 정확도는 낮다)
  3. 디펜던시

아이덴티피케이션?

fosslight hub 쓰는 목적, 크게 2가지

  1. 컴플라이언스 관리
  2. 보안 취약점 관리

포인트, CVE 관련해서는 해결했냐 안했냐.

sbom 관리

오픈소스 실제 기록

동기

사족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 업무

TJ >

이해 대상

오픈 소스 검증

오픈소스 담당부서 되다

왜하냐?

만일 한다면?